현대 한족이 사용하는 공통어는 베이징 발음을 표준음으로 하고 북방방언을 기초로 한다. 보통화는 베이징 발음을 표준음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베이징말에 내재하는 방언성분은 배제해야 했기 때문에 끊임없는 심의를 거쳐 가장 규범적인 독음을 확정하였다.
1) 베이징 발음을 표준음으로 한다.
보통화의 발음은 통일적이고 표준적인 발음이기 때문에 임의로 만들거나 북방어 발음 전체를 마음대로 표준음으로 삼을 수도 없다.
그래서 구체적인 어떤 지역의 발음을 표준음으로 삼아야 했고, 이에 베이징 발음을 표준음으로 한 것은 역사발전과정에서의 필연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베이징은 12세기부터 여러 봉건왕조의 수도였고, 지금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로서 800여 년 동안 줄곧 중국의 정체, 경제, 문화의 중심지였다.
그렇기 때문에 베이징말이 한족의 공용언어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방언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고, 표준음의 기초를 마련하게 되었다.
13세기 이후,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베이징말은 '관화(官話)'로 일컬어졌는데, '관화'란 관리들이 사용하던 전문적인 언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전 민족이 공통으로 사용하던 언어를 말한다.
이후에 시대별로 연출된 연극, 영화, 방송 등 예술과 각종 매체들은 베이징 발음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베이징 발음은 사람들에게 표준 발음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고, 사회적으로도 인정 받게 되었다.
2) 기초방언은 북방방언이다.
중국어 방언 중 북방방언은 분포지역이 가장 넓으며 사용 인구 역시 가장 많다. 북방방언의 어휘는 13세기 이후 중국 각지에 통용되던 구어 형식인 '관화'와 서면어 형식인 '백화문'이 전해지면서 그 보편성이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백화문'이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오던 고대의 '문언(文言)'에 상대되는 말이다. 문언도 처음에는 구어를 기초로 하여 형성되기는 하였지만 서면어로서 자리를 잡기 시작하면서 구어와는 점차 멀어졌다.
'문언'은 더 이상 구어와 함께 변화하지도 않게 되었고 전문적으로 학습해야 알 수 있는 순수한 서면어로 변하게 되었다. 이러한 서면어(문언)와 구어의 분화로 민간에는 구어에 아주 가까운 새로운 서면어인 백화문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백화문은 9세기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13세기에 이르러서는 상당히 발전하게 된다. 백화문으로 구성된 문학작품인 '수호전', '서유기', '유림외사', '홍루몽' 등이 널리 읽히면서 일반 사람들 사이에서 백화문에 대한 필요성이 확산되었다.
이는 백화문의 토대인 북방방언을 널리 전파하는 데 공헌하였고, 또한 북방방언의 기초하에 형성된 서면어가 발전하게 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에 1919년 이후 백화문은 정식으로 서면어의 자격을 얻게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정치의 통일과 경제발전, 교육의 보급, 교통의 편리, 각 지역 사람들의 빈번한 접촉과 문학작품, 연극영화, TV방송 등의 영향으로 북방방언의 어휘는 폭 넓게 확산되었다.
보통화 어휘는 북방방언을 기초로 하며, 북방방언 중 지역색이 강한 어휘는 배제하면서 필요한 어휘는 다른 방언으로부터 계속 받아들이고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외래어도 적당하게 받아들여 보통화의 어휘 및 표현력이 더욱 풍부해졌다.
3) 문법규범은 전형적인 백화문 저서를 기초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전형적'인 백화문 저서란 광범위하게 대표성을 띠는 문학작품을 말한다. 예를 들어, 유명한 작가의 유명한 작품에서 인용한 예제가 가장 보편성을 띠는 문법규범이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통화의 문법규범은 방언문법, 고대문법, 외국어문법 등의 영향을 배제하지만, 유용한 것들은 보통화 문법으로 흡수하고 있다.
실제로 보통화 문법은 이미 이러한 특수한 기능이나 유용한 성분들을 흡수하였고, 이로써 현대중국어는 더욱 정밀해지고 체계성을 갖추게 되었다.
한족 공통어인 보통화 이외에 현대중국어는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방언을 갖고 있다. 이러한 방언 간에는 음성, 어휘, 문법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음성 상의 차이일 뿐 기본어휘나 문법구조는 같기 때문에, 이들을 보통화와 대립되는 독립된 언어로 볼 수 없다. 또 정치, 경제, 문화 등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보통화의 보급은 점차 확대되고 있음, 방언의 영향력은 점점 축소되고 있다.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어 음변화-경성, '儿'화 (0) | 2024.06.21 |
---|---|
중국어 음성체계-성조, 음절과 음절구조 (1) | 2024.06.21 |
중국어 음성체계-운모 (1) | 2024.06.21 |
중국어 음성체계-성모 (0) | 2024.06.20 |
현대중국어의 주요 특징 (0) | 2024.06.20 |